얼마 전 6월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 운영이 계시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과연 가입해야 되나?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보와 이율등을 알려드리고 과연 가입하는 게 좋은지 아닌지 저의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정부에서 2030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한 정책으로 비과세 혜택과 정부지원금을
지원해 줘서 최대금리 6%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언제부터 가입이 가능한가요?
2023년 6월 15일부터 운영이 게시되었고. 현재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 은행의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sc제일은행은 24년 1월부터 가능하다고 합니다.
6월달에는 15일부터 23일까지 가입이 가능하고 6월 15일부터 21일까지는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이후 22일, 23일에는 출생연도와 관계없이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하며 날짜는 아직 미정입니다.
가입신청자는 가입신청 시 은행앱에서 바로 연령요건,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여부등을 확인할 수 있고.
개인소득, 가구소득 요건은 가입자와 가구원의 소득조회 동의를 얻어 이루어지고 확인이 완료되면
가입신청 은행에서 가입여부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를 받으면 7월 10일부터 21일 중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6월에 가입신청하고 7월에 계좌 개설)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로 적용이 됩니다.
변동금리는 해당시점의 기준금리와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 금리를 합하여 설정되며
총 급여 기준 개인 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소득 우대금리를 부여합니다.
위의 표의 내용은 비과세 혜택을 받지 않는 일반 은행에서 가입할 경우 7%에서 8%에 해당하는 금리랑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청년도약계좌의 실제 금리는 5~6%대이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일반 은행적금과 비교했을 때 7~8%대 금리의 상품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는 말입니다.
시중은행에 7%대 적금의 상품은 1,2 금융권에서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매우 좋은 혜택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는 게 좋은가?
단순히 적금상품만 봤을 때는 매우 혜택이 좋다. 현재 기준금리가 올라온 상황이지만 7%대 적금은 매우 높은
이율이며 4200만 원을 납입하면 5000만 원을 가져갈 수 있는 상품이다. 자신이 가입요건에 만족하고
목돈을 마련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당연 최고의 선택이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5년 동안 돈이 묶인다
만약에 5년 안에 중도 해지 시 비과세 혜택과 정부지원금은 모두 받지 못한다. 그러므로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주식이나 펀드등 재테크에 능숙한 사람들은 7%대 이율 받느니 차라리 주식이나 펀드로 목돈을 마련하는 게
더 이득이기 때문에 자신이 주식이나 펀드에 자신 있는 사람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
요약하자면 자신이 재테크에 대해 별로 아는 게 없고 적금밖에 할줄 아는게 없다면 최고의 선택이다.
그러나 자신이 주식이나 펀드등에 자신이 있고 더 큰 수익을 챙길 수 있다면 추천하지 않는다.
'유용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냄새 제거법 (1) | 2023.06.25 |
---|---|
팹리스,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반도체 생태계 쉽게 정리 (0) | 2023.06.25 |
유체이탈은 과연 실제로 존재하는 현상인가? (0) | 2023.04.27 |
여드름 없애는법 6가지 (0) | 2023.01.02 |
육군 병장전역자가 알려주는 군대 자대 생활 꿀팁 (0) | 2022.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