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를 아직 가지 않았거나 면제인 사람들은 군대는 계급사회이니까 당연히 계급이 높을수록 힘이 더 셀 거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군대를 다녀온 사람들은 알 것이다 계급이 다가 아니다 군대에서는 짬도 무시 못한다.
유튜브 장삐쭈 신병이라는 만화에서 새로 온 신임 소위가 행보관에게 명령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실제 군대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왜 계급은 소위가 더 높은데 상사인 행보관에게 명령을 하면 욕을 먹는 것일까??
그 이유를 알려면 먼저 부사관과 장교의 차이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군대 계급 체계
군대 계급은 크게 세 가지(병사, 부사관, 장교)로 나눌 수 있다.
병사
대한민국 남성 대부분이 병사로 입대를 한다 의무복무기간 1년 6개월만 채우면 된다. 이병 <일병 <상병 <병장 순으로 계급이 높으며 의무복무 기간을 마치고 계속 군대에서 복무하고 싶으면 전문하사로 지원하여 부사관이 될 수도 있다.
부사관
부사관부터는 거의 대부분이 자신이 원해서 지원하는 사람이다. 일명 직업군인이다. 공무원처럼 월급을 받고 군생활을 하며 병사와 장교의 중간단계이다. 하사 <중사 <상사 <원사, 준위 순으로 계급이 높으며 병사보다는 책임을 많이 지지만 장교만큼 지지는 않으며 장교에 비해 월급 이적지만 안정적이며 짤릴가능성이 매우 적다.
장교
장교는 아무나 될 수 없고 rotc, 3 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등 장교 육성과정을 거 친자들만이 장교가 될 수 있다.
장교들은 월급이 부사관이나 병사에 비해 많은 대신에 많은 책임이 뒤따르며, 부사관에 비해 안정적이지 않고
능력이 있어야지만 진급할 수 있다. 전쟁 시 직접적인 전투보다는 지휘하는 역할을 주로 하며 (물론 위관급 장교들은 직접 전투도 수행한다) 자신의 능력이 된다면 장군까지도 진급할 수 있다. 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순으로 계급이 높다
부사관과 장교 무엇이 다른가?
부사관은 전시에 전투임무를 수행하는 베테랑이라면 장교는 직접적인 전투보다는 뒤에서 지휘하는 사람이다.
계급은 장교가 더 높지만 그냥 서로 다른 길이기 때문에 서로 존대를 해준다. 병원으로 예를 들면
의사가 간호사 보다도 지위가 높지만 서로 존대하지 않는가? 수간호사에게는 의사들도 함부로 못한다.
비슷한 경우라고 보면 된다. 아무리 계급은 소위 중위가 높아도 상사인 행보관에게 함부로 못한다
중대장과 행보관 중 누가 더 힘이 센가?
한 개 중대에서 제일 높은 장교인 대위(중대장)와 제일 높은 부사관인 행보관(상사) 누가 더 힘이 더 셀까?
자신의 부대가 화목하고 중대장과 행보관이 사이가 좋은 부대라면 보통 서로 존대해준다.
하지만 중대장과 행보관의 사이가 좋지 않은 부대라면 둘의 기싸움을 볼 수 있다.
중대장은 계급으로 밀어붙이고 행보관은 짬으로 밀어붙인다.
부대마다 상황은 다르겠지만 행보관이 아무리 짬으로 밀어붙인다 해도. 중대장은 사실상 지휘관이기 때문에
보통은 중대장이 이기는 편이다.
중대장은 중대의 아버지이고 행보관은 중대의 어머니이다. 아버지와 어머니가 싸우면 집안이 화목하겠는가?
중대장과 행보관이 사이가 좋아야 중대 전체가 화목해지고 병사들도 행복해진다.
부디 이 글을 보는 병사들은 화목한 중대장 행보관을 만나길 바란다.
'유용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드름 없애는법 6가지 (0) | 2023.01.02 |
---|---|
육군 병장전역자가 알려주는 군대 자대 생활 꿀팁 (1) | 2022.05.18 |
파마 오래 유지하는법, 파마 오래 가는 5가지 방법 (1) | 2022.05.10 |
사후세계는 과연 존재할까? (사후세계 증거, 임사체험) (1) | 2022.01.26 |
전기차 구매해도 될까?? 전기차 장단점 분석 (0) | 2022.01.26 |
댓글